심리학 전반적인 안내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 그 행동과 관련된 심리적, 생리적, 사회적 과정, 그리고 둘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경험적 과학 분야입니다. 인지심리학, 발달심리학, 회귀심리학 등 여러 분야로 나누어지며, 산업, 교육, 인문, 자연과학, 공학, 과학, 미술 등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마음은 실체로 간주되지 않아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고대부터 철학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후 19세기 말 과학연구의 발달과 함께 철학에서 분기하여 독자적인 학문체계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심리학은 연구분야에 따라 크게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으로 나누어지는데, '기초심리학'은 심리학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다루고, '응용심리학'은 이들 원리와 이론에 관련된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0년 현재 한국에는 14개 진료과가 있고, 미국에는 본병원 외에 56개 진료과가 있습니다.
오늘날의 심리학은 과거 철학자들의 사변적 방향에서 벗어나 엄격한 과학적 실험을 주된 방법으로 삼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심리학은 때때로 그 자체를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엄격한 연구방법에 따라 경험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엄격한 학문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심리학은 인간과 관련된 모든 분야가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직·간접적으로 심리학의 학문적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인간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가 점점 더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는 인간의 감각, 지각, 사고, 성격, 지능, 적성 등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리학은 과학과 기술의 기본 원리를 밝히며 미래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심리학의 어원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단어는 영혼을 뜻하는 그리스어 프시케(psyche)와 학문을 연구한다는 뜻의 로고스(logos)의 합성어이다. 원래 심리학은 '영혼의 탐구'라고 불렸습니다. 이는 초기 심리학자들이 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토마스 윌리스(Thomas Willis, 1621~1675)는 17세기 영국 임상의학의 대표자로, 정신과 치료를 위한 뇌 기능을 연구하면서 '마음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창안했습니다.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은 다양하기 때문에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심리학의 정의와 목표, 연구 방법에 대한 해석이 일원화 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심리학은 다음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심리학은 인간 행동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목표로 합니다. 둘째, 심리학이 과학이 되려면 엄격한 정의, 명확한 절차 및 결과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론을 따라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고려하면 심리학은 “인간의 정신적 과정과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로 정의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심리학의 성립
근대 이전에는 사람들은 마음이 몸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고 믿었습니다. 마음은 영혼의 표현으로 여겨졌고,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몸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비물질적인 것은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심리학은 철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었으며 이러한 기조는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습니다.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가 얻어지면서 심리학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가능한 학문으로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게 되었습니다.
19세기 말, 이전에는 철학의 한 분야로 여겨졌던 심리학은 점차 철학과 차별화되어 과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1879년 "심리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가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인 정신물리학 실험실을 열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분트는 자신을 "심리학자"라고 불렀으며 심리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는 심리학을 직접적인 경험의 영역으로 정의하고 연구 방법으로 '성찰'을 장려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심리학 분야의 과학적 연구와 실험이 계속되었고, 독일의 에빙하우스는 베를린 대학에서 기억과 망각에 관한 선구적인 실험을 하였으며, 1885년에는 망각 곡선 가설과 간격 효과를 발표했습니다. 1890년 미국의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당시 심리학의 주요 쟁점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의 원리(Principles of Psychology)』라는 책을 써 출판했으며, 러시아의 파블로프(Pavlov)는 유명한 고전적 조건화 실험을 통해 학습 과정을 연구했습니다.
심리학의 철학 및 과학적인 바탕
고대부터 심리학에 대한 탐구는 지속적으로 있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심리학이란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는 철학자들이 다루는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고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식론에 관한 문제를 다루어왔으며 이러한 관심은 르네상스 이후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데카르트는 유명한 심신문제에 있어서 이원론을 주장하며 마음과 몸이 별개의 실체임을 주장하였으나 이는 현대 심리학의 입장과는 다른 입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티마 칼리파조의 선구자인 과학자 이븐 알하이탐은 1010년에 출간된 '광학'에서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심리학적 개념으로서 설명하였고 독일 스콜라 철학자 루돌프 괴켈은 1590년 출간한 그의 저서에서 조건을 사용한 심리 실험을 다루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볼프가 '심리실험과 심리추론'이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조건을 사용한 실험은 일반적인 심리 실험이 되었습니다. 디드로는 '백과사전'에 이를 기술하며 비랑이라는 인물에 의해 프랑스에서 널리 사람들에게 알려졌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의 정의와 다양한 관점의 이해 (0) | 2024.03.05 |
---|---|
[상담의 이론] 교류분석 상담 (0) | 2024.03.05 |
[상담의 이론] 현실치료 상담 (0) | 2024.03.04 |
인지부조화의 이론과 연구결과 (0) | 2024.03.03 |
형태주의 심리학과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심리학 (0) | 2024.03.03 |